분류 전체보기 10

왠만하면 VS 웬만하면

📝 “왠만하면” vs “웬만하면” –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정답은?한국어를 쓰다 보면 종종 비슷하게 들리는 말들이 헷갈리곤 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왠만하면”과 “웬만하면”인데요.과연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정답은?👉 웬만하면 ✅“웬만하면”이 표준어이며, 국립국어원에서도 이 표현만을 인정합니다.“왠만하면”은 틀린 표현입니다.🔍 왜 “웬만하면”이 맞는 표현일까?“웬만하다”는 원래 **“어지간하다”**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예: “웬만한 일엔 놀라지도 않는다.”✔️ 이때 **‘웬’**은 ‘왜’에서 온 것이 아니라, **‘어지간한’**의 의미를 담는 고유어입니다.그래서 ‘왜’의 의미와 관련 있는 **“왠지(왜인지)”**는 맞지만, “왠만하다”는 틀린 표현이 되는 것이죠.📚 예문으로 비교해볼까요?..

한국어 교실 2025.04.18

들르다? 들리다? 올바른 표현은?

---들르다? 들리다? 올바른 표현은?우리가 일상 대화 속에서 자주 쓰는 표현 중 헷갈리는 것이 바로 **‘들르다’와 ‘들리다’**입니다. 두 단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뜻과 쓰임이 완전히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두 표현의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1. 들르다 – ‘어디에 잠깐 머무르다’는 뜻**‘들르다’**는 어떤 장소에 잠시 머무르거나 거쳐 가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친구 집이나 가게에 잠깐 들렀다가 다른 곳으로 가는 상황에서 사용합니다.예문집에 가는 길에 마트에 들렀어요.출근길에 커피숍에 좀 들르자.병원에 잠깐 들르고 갈게요.> 활용형 예시: 들르다 → 들러요, 들렀어요, 들르겠습니다 등---2. 들리다 – ‘소리가 귀에 들어오다’, ‘보이거나 느껴지다’는 뜻**‘들리다..

한국어 교실 2025.04.18

국방어학원 강사 모집 공고문(한국어학처), ~ '25. 4. 25.(금)

강사 모집 공고문(한국어학처) 1. 개요국방어학원에서 외국군 장교에게 한국어를 교육할 유능하고 성실한 한국어 강사를 아래와 같이 초빙합니다. 2. 초빙인원: 시간 강사 0명 3. 초빙조건‘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전공자로서 한국어 교원 자격증 2급 이상을 보유하고 ‘국내 4년제 대학 한국어 강의 경력 4년 이상(2,000시간 이상)’을 충족하는 자※‘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전공 석·박사 학위자 우대 4. 지원방법가. 지원서 접수기간: '25. 4. 16.(수) ~ '25. 4. 25.(금)나. 전자우편으로 지원1) Email: kdli7771@mnd.go.kr다. 제출서류: 증명서는 스캔 후 제출1) 지원서 1부, 자기소개서 1부2) 최종 학위 증명서 1부, 한국어 교원 자격증 1부3) 한국어 교육..

2025년 3차 KOICA 봉사단(167기) 모집

https://kov.koica.go.kr/ho/cobb/ovhHoCobbBbsNormalDetail.do?menuId=MENU0000000000000162&bbsSn=1004&bbsDataSn=369556&answerYn=N&bbsPrSearch=81 2025년 3차 KOICA 봉사단(167기) 모집·선발 일정을 아래와 같이 사전 안내드리오니,관심 있는 분들께서는 지원 일정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동 게시는 봉사단 지원 예정자의 궁금증 해소를 위한 ‘사전’ 안내로서 지원서 작성을 위한 시스템은 비활성화 상태이며, 국가별ㆍ직종별 세부사항은 2025. 4. 24. (목) 모집공고에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선발일정(안) 내 용일 정모집공고 및 지원서 접수2025. 4. 24.(목)~5. 16..

[서울대 한국어 3B 15과 문법 2-2] V-는 길에

물론이죠! 아래는 서울대 한국어 3B 15과 문법 2-2 V-는 길에에 대한 문법 설명, 예문, 퀴즈를 포함한 티스토리 블로그 글 형식입니다. 모든 내용은 영어, 베트남어, 중국어 번역도 함께 제공합니다.📘 [서울대 한국어 3B 15과 문법] V-는 길에무언가를 하러 가는 도중에! "가는 김에"처럼 쓸 수 있는 표현!✅ 문법 설명 | Grammar Explanation | Giải thích ngữ pháp | 语法说明🇰🇷 한국어V-는 길에는 어떤 동작을 하러 가는 도중에, 가는 김에 다른 동작을 같이 한다는 뜻을 나타냅니다.예를 들어, "학교에 가는 길에 편의점에 들렀어요."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형태:동사 어간 + -는 길에가다 → 가는 길에 / 오다 → 오는 길에🇺🇸 EnglishV..

[서울대 한국어 3B 15과 문법 2-1] A/V-지 않으면 안 되다

📘 [서울대 한국어 3B 15과 문법] A/V-지 않으면 안 되다꼭 해야 할 때 사용하는 문법! ✅ 문법 설명 | Grammar Explanation | Giải thích ngữ pháp | 语法说明🇰🇷 한국어**‘A/V-지 않으면 안 되다’**는 어떤 행동을 반드시 해야 하거나, 어떤 상태가 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문법 표현입니다.말을 바꾸면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은 결국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주로 의무, 필수, 또는 불가피한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English“A/V-지 않으면 안 되다” is a grammar pattern used to express necessity or obligation.It literally means “If you don’t d..

[서울대 한국어 3B 15과 1-2] 문법 정리: A/V-(으)ㄹ걸(요)

📘 [서울대 한국어 3B 15과] 문법 정리: A/V-(으)ㄹ걸(요)말하는 사람의 추측이나 의견을 나타내는 표현🧠 문법 설명 | Grammar Explanation | Giải thích ngữ pháp | 语法说明‘A/V-(으)ㄹ걸(요)’는 화자가 어떤 일에 대해 '추측'하거나 '자신의 의견'을 말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주로 구어체에서 사용되며, 청자의 말에 다소 반대하거나 다른 의견을 말할 때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형태 | Form동사/형용사 + (으)ㄹ걸(요)받침 O → -을걸(요)받침 X → -ㄹ걸(요)📌 과거 시제에는 사용하지 않아요.📌 의미 요약언어 의미 요약🇰🇷 한국어말하는 사람의 추측이나 의견 표현 (상대 의견에 대한 반론처럼 보일 수도 있음)🇺🇸 EnglishUse..

서울대 한국어 3B 15과 문법 1-1 V-게 하다

📘 [서울대 한국어 3B 15과] 문법 정리: V-게 하다"시키다"의 의미를 가진 표현, 외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국어 해설 포함🧠 문법 설명 | Grammar Explanation | Giải thích ngữ pháp | 语法说明‘V-게 하다’는 어떤 행동을 하도록 만들거나 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보통 누군가가 다른 사람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시키다', '유도하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태 | Form동사 어간 + -게 하다예: 웃다 → 웃게 하다, 공부하다 → 공부하게 하다📌 의미 요약한국어: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하게 만든다영어: to make someone do something / to let someone do something베트남어: khiến ai đó là..

접속부사 그런데

좋아요! 아래는 **접속 부사 “그런데”**에 대한 설명과 예문을 영어(English), 중국어(中文), **베트남어(Tiếng Việt)**로 전체 번역한 내용입니다.---1. “그런데”란 무엇인가요?What does "그런데" mean?“그런데” 是什么意思?“그런데” có nghĩa là gì?“그런데”는 앞의 문장과 뒤의 문장을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접속 부사입니다."그런데" is a conjunctive adverb that connects the previous sentence with the next naturally.“그런데” 是一种连接前后句子的连接副词,让句子更自然地衔接。“그런데” là phó từ liên kết dùng để nối câu trước và câu sau một cách tự..

간이과세자 조건과 혜택 - 2020년 세법개정안

개인사업자가 사업자등록 진행할 때 과세 유형에 따라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로 나뉘는데, 오늘은 2020년 세법 시행령 개정안 중에서 부가가치세법의 개정으로 인해 간이과 세자에 대해 어떤 변화가 있었는 지 살펴보도록 할게요. ​ 간이과세자가 왜 중요한가하면 정부가 소규모 자영업자의 세부담 경감을 위한 부 분이기 때문입니다. 일단 부가가치세에 대해서 일반과세자는 10% 적용하는 반면에 간이과세자는 품 목별 다르지만1.5%~4% 적용이 됩니다. 이런 얘길 들어보셨을겁니다. 물건을 팔고 나서 앞으로 남고 뒤로 밑진다라는 말인 데요, 당장 물건을 판매하고 나면 뭔가 남은 것 같은데, 나중에 수수료 떼고 세금내 고 하면 남는게 없는다라는 뜻이지요. ​ 간이과세자 기준금액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내용은 전년도 기준 ..

에세이 2022.12.10